태양열에 의한 에어컨 사용량 증가
에너지 사용량 증가 (이산화탄소 발생 증가)
에너지 절감 정책
저 탄소 녹색성장 전략
재사용, 탈부착 및 열차단율 유지 어려움
얇은 두께의 필름으로 난연성 문제있음
투명성이 낮음 (가시광선 투과율 20% 이하)
필름부착에 따른 공정 및 원가 상승
난연 불가
투명성이 낮음 (가시광선 투과율 20% 이하)
경량성 및 난연성이 우수함
투명성이 우수함 (가시광선 투과율 30% 이상)
열차단성 우수함 (적외선/자외선 차단율 98% 이상)
중공형태(코어층+스킨층)로 사출
성형품의 구조제어 및 경량성
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적용
개발 첨가제 도입으로 사용량 최소화
난연성 극대화를 위한 hybrid 기술
분산성 개선, 수지 물성 감소 최소화
적외선흡수 : 유기 cyanine계 첨가제
자외선차단 : 표면처리된 무기 첨가제
98% 이상의 열차단 특성을 갖는 에너지 절감형 투명 복합 소재 및 응용
성형품의 구조 제어를 통한 경량화 기술 연구 : 중공형태(코어층+스킨층)의 경량 복합 소재
근적외선 차단(흡수) 첨가제 개발: Cyanine계 화합물 합성 및 열차단 특성 평가
자외선 차단 첨가제 개발: 벤조페논계(유기)/무기 첨가제 복합화
난연성 극대화를 위한 Hybrid 기술 도입: 금속수화물/인/질소 화합물 개질 연구
분산성 개선으로 수지 물성 저하 최소화
합성된 기능성 첨가제 및 기능성 필러 개질 연구
물리적 분산 가공 공정 시스템 연구
엔지니어링 플라스틱용 투명 소재 선정
개발 열차단 첨가제 및 난연제 도입
2021년 6 월 대구 소재 다이텍 연구원에서의 당사 압출 소재와 대기업 열 차단 필름을 기준으로 열 차단 온도 측정에 대한 자료
다이텍연구원 : www.dyetec.or.kr (대구시 서구 달서천로 92 DYETEC 연구원 TEL 053.350.3700)
구분 | 0s | 100s | 300s | 500s | 800s | 1300s | 1400s | 1500s | 1800s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내부온도 | 21.15 | 22.34 | 26.22 | 29.54 | 32.84 | 36.86 | 37.49 | 38.01 | 39.66 |
에코 프리즘 | 21.15 | 22.03 | 22.92 | 23.89 | 25.21 | 27.33 | 27.81 | 28.05 | 29.23 |
Film | 21.15 | 22.06 | 24.96 | 27.5 | 30.65 | 33.5 | 34.11 | 34.83 | 35.77 |
온도 편차°C | 0 | 0.31 | 3.31 | 5.65 | 7.63 | 9.53 | 9.53 | 9.96 | 10.43 |
최대 온도 차이: 5.18
최소 온도 차이: 0.02
최대 온도 차이: 6.10
최소 온도 차이: 0.02
최대 온도 차이: 6.54
최소 온도 차이: 0.08
2021년 6월 다이텍 연구원에서 에코 프리즘 블라인드 시료를 인공 태양전구 열 차단 실험기로 성능을 측정함 [30분간 (1,800초) 투사하여 열 차단 실험을 진행함]
측정 결과 내부 실험 기기 온도와의 편차는 약 10℃ 이상 차이가 발생함
온도 1℃ 는 평균 냉난방 전기에너지 7% 를 절감함
약 6℃ 편차의 온도는 냉난방 에너지 약 70% 절검하는 수치로 경우의 손실을 예측하더라도 약 50% 냉난방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으로 보임
다중 구조의 에코 프리즘은 열 차단 필름보다 약 3℃ 이상 열 차단율을 보임